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5

[AWS] Saving Plan vs Reserved Instance AWS 비용 최적화를 진행하던 중, 24시간 구동중인 검색 엔진 EC2 인스턴스의 스펙 최적화가 필요하였다. 당장 ECK on EKS로 이관하는 것은 러닝커브가 있으며, 인력 구조상 쉽지 않은 상태이기에 Saving Plan or RI를 활용하여 비용 최적화를 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잡았다. SP와 RI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01. Saving Plan vs Reserved Instance01-1. Reserved Instance(RI 예약 인스턴스) Reserved Instance & Savings Plan - NDS Cloud Tech BlogEC2, RDS, Fargate, Lambda 등 AWS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Reserved Instance(예약 인스턴스)와 Savings Plan(.. 2025. 8. 7.
[Spring] RestTemplate vs WebClient vs RestClient OpenSearch API에서 FastAPI 기반 Embedding API로 HTTP 요청을 보내야 하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초기 구현은 WebClient로 작성했지만, 논블로킹 이벤트-루프 모델이 반드시 필요한 시나리오는 아니었다. 따라서 동기·블로킹 방식인 RestClient로 로직을 리팩터링해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하여 어떤 부분이 다르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본다.01. RestTemplate vs WebClient vs RestClient항목RestTemplateWebClientRestClient최초 도입Spring 3.0 (2009)Spring 5 (WebFlux, 2017)Spring 6.1 (2023)스레드 모델동기·블로킹비동기·논블로킹동기·블로킹.. 2025. 8. 4.
[AWS] ECS Network Mode 이번 시간에는 ECS를 사용할때의 Network 모드에 대해 알아본다. 기본적으로 ECS Fargate의 경우는 awsvpc 모드를 제외하고 다른 네트워크 모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EC2로 ECS를 구동하는 경우도 있으니, 모든 Network 모드에 대해 정리하고 각 Network 모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01. AWS ECS Network Mode 정리 (Fargate 중심)01-1. OS별 지원 네트워크 모드Network ModeLinux Containers on EC2Windows Container on EC2awsvpcOObridgeOXhostOXnoneOXdefaultXOAWS ECS에서의 네트워크 모드는 컨테이너가 네트워크에 어떻게 붙을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또한, EC2 인스턴스 기반으.. 2025. 7. 30.
[AWS] Lambda + EventBridge 기반 스케쥴링 운영 환경에서는 테스트용 EC2 인스턴스를 상시 실행해 둘 필요가 없다. 이를 고려하여 업무 시간 외에는 EC2를 자동으로 중지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AWS Lambda와 EventBridge를 연동하여 EC2를 자동 중단하는 구성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01. 주요 작업 요약IAM 신규 정책(Policy) 및 역할(Role)을 생성Lambda(Python) 기반으로, EC2 인스턴스 종료/시작 함수를 생성AWS Event Bridge를 활용하여 특정 시간 패턴에 따라 종료/시작 하도록 환경 구성02. IAM 정책 및 역할 생성02-1. IAM 정책 생성{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S.. 2025. 7. 28.
[AWS] 자주 사용하는 AWS CLI 정리 AWS CLI 정리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AWS CLI를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스팅을 작성한다.01. S3 BucketAWS S3 버킷 용량 조회# GB 단위로 특정 버킷의 용량 조회aws s3api list-objects-v2 \--bucket \--prefix \--query "sum(Contents[].Size)" \--output text | awk '{printf "%.2f GB\\n", $1 / 1024 / 1024 / 1024}'02. EC2(Elastic Compute Cloud)EC2 인스턴스 정보 조회aws ec2 describe-instances \--filters "Name=tag:,Values=" \--no-cli-pager \--query "Reservations[].In.. 2025. 7. 24.
[AWS] 인터넷 게이트웨이 이번 시간에는 AWS의 Internet Gateway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01. AWS Internet Gateway01-1. 인터넷 게이트웨이란?인터넷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는 VPC 내부의 리소스(예: EC2 인스턴스)가 퍼블릭 인터넷과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AWS의 관리형 논리 장치(물리적 서버 위의 S/W로 만든 기능)다.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AWS 내부에서 자동으로 여러 가용 영역(AZ)에 분산되어 작동하기에, 하나의 가용 영역(AZ)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인터넷 연결이 중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용성을 보장하며, 사용자는 별도의 이중화나 유지보수 없이 안정적으로 인터넷 연결 사용을 할 수 있다. IPv4 트래픽의 경우, IGW는 인.. 2025. 7. 10.
[Network] 공유기 설정 시 왜 포트포워딩을 해야할까? 회사의 공유기를 사용하면 포트포워딩 기능을 통해 외부에서 회사 내부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오늘은 공유기가 무엇인지, 왜 사용하는지, 그리고 포트포워딩이 왜 필요한지 간략히 살펴본다.01. 공유기와 포트 포워딩 이해하기01-1. 공유기란 무엇인가?역할 : 공유기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들의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해주는 장치. 과거에는 집에 컴퓨터 한 대만 있는 경우가 많았고, 해당 컴퓨터 한 대만 인터넷에 연결되면 됐다. 하지만 요즘은 개인적인 PC, 노트북,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여러 기기를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여러 기기를 연결해야 하지만 ISP 제공 업체(SK, LG.. 등등)에서 제공해주는 인터넷 회선은 기본적으로 한 대의 기기만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하나의.. 2025. 6. 15.
[Network] 서브넷 마스크란? 이전에 VPC의 CIDR 대역을 설정하는 기준과 서브넷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던 중, 서브넷팅 및 서브넷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러나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부분은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이번에는 해당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01. 서브넷 마스크란?# 서브넷 마스크 이진수 변환1) 전체 IP 주소 : 192.168.1.102)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3) 이진수 변환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에서 어디부터가 네트워크(Network) 주소 비트(bit)이고, 어디서부터가 호스트(Host) 주소 비트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32비트 숫자(예: 255.255.255.0)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 부.. 2025. 6. 11.
[AWS] AWS VPC, Subnet IP 대역을 설정하는 기준은? 이번 포스팅에서는 VPC와 Subnet을 생성하는 실습이 아니라, 어떤 기준으로 VPC IP 대역을 정하고, Subnet을 나눌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우선 VPC IP 대역을 설정하는 부분 먼저 진행 후 Subnet을 나누는 작업을 진행 해볼 것이다.01. VPC IP 대역 설정우선 들어가기에 앞서, 퍼블릭 IP와 프라이빗 IP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자.01-1. 퍼블릭(Public)과 프라이빗(Private) IP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에서 인터넷을 설치하고 노트북을 랜선에 연결하면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IP는 공인 IP와 사설 IP로 나뉜다. 공인 IP(Public I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부터 직접 할당받은 IP로, 외부 인터넷에서 식별 가능한 주소다. .. 2025. 6. 10.
[AWS] 왜 Public, Private Subnet은 분리가 되어 있을까? VPC를 구성할 때, 퍼블릭(Public)과 프라이빗(Private) 서브넷을 왜 나누는 걸까? VPC 자체가 사설 네트워크인데도 굳이 서브넷을 또 구분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막연히 알고 있었지만, 정리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완벽한 이해까지는 아니더라도, 왜 VPC에서 퍼블릭과 프라이빗 서브넷을 구분하는지 그 이유를 명확히 짚어보려 한다.01. VPC는 기본적으로 사설망?기본적으로 VPC(Virtual Private Cloud)를 생성하면, IGW(Internet Gateway)나 NAT Gateway 같은 외부 연결 설정이 없는 한, 네트워크는 외부와 격리된 사설망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이미 VPC 자체가 사설 네트워크라면, 왜 그 안에서 다시 퍼블릭(Public)과 .. 2025.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