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ublic Cloud/AWS - Experience

[AWS] 리전, 가용영역, 엣지 로케이션이란?

by ymkim 2025. 3. 20.

AWS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당연히 알고 있는 개념이겠지만, 막연하게 알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이번 시간에는 AWS의 기초 개념인 리전(Region),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에 대해 알아보자.

01. AWS 인프라 구조

기본적으로 AWS의 인프라 구조는 크게 AWS 서비스가 존재하고, 그 안에 리전(Region)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리전(Region) 안에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이 존재하는 형태로 구성이 된다.

02. 리전이란?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s_az

리전(Region) : 하나의 국가(대한민국, 일본, 중국, 미국)이라 볼 수 있다.

AWS는 단일 국가가 아닌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다. 그렇기에 AWS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단위인 리전(Region)로 영역을 분리하였으며, 이러한 리전(Region)은 다수의 데이터 센터(Data Center)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리전(Region)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 번째 이유네트워크 속도와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 호스팅된 서비스에 다른 국가의 사용자가 접속하면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국가의 리전에 서비스를 호스팅하여 네트워크 지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리전(Region)이 사용된다.

두 번째 이유가용성(HA)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천재지변이나 예기치않은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특정 리전의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 이를 방지 위해 다중 리전을 운영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세 번째 이유법률 및 규제를 준수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에서는 국가의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해당 국가 안에서만 보관되어야 한다는 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국가의 리전(Region)에 서비스를 구성하여 법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리전(Region)은 다수의 데이터 센터(Data Center)의 집합이며 물리적으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이 된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가용영역(AZ)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03. 가용영역이란?

가용영역(AZ) : 하나의 국가 안에 있는 소도시(서울, 대구, 부산, 광주)라 볼 수 있다.

AWS 가용영역(AZ)은 하나의 리전(Region)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Data Center)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각 가용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서버가 있는 건물)가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 가용영역은 물리적으로 100k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며,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가용영역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가용영역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각 계정(account)별로 AZ의 코드와 실제 위치가 다르다. 계정 Test1의 az-a는 Test2의 az-a와 서로 다른 위치(랜덤)에 존재한다는 의미인데, 보안이나 트래픽이 특정 AZ로 트래픽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모든 AWS 계정(account)별로 가용영역이 고정되어 있으면?

User A가 az-a 존에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User B가 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User B는 az-a 존에 접근하여 User A의 정보를 탈취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이 별다른 고려 없이 az-a 존에 리소스를 생성할 경우, 특정 가용 영역으로 트래픽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WS는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방지할까?

AWS는 각 계정(account)별로 가용 영역과 데이터 센터(Data Center)를 랜덤하게 매핑한다. 이를 통해 계정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 센터가 할당되므로, 특정 가용 영역에 대한 보안 및 트래픽 집중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04. 엣지 로케이션이란?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이란 AWS CloudFront(CDN)등의 여러 서비스들을 가장 빠른 속도로 제공(캐싱)하기 위한 거점이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넷플릭스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아프리카, 태국, 중국 등 해외 사용자들이 한국 서버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면 네트워크 지연(latency)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거점마다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을 배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들은 해당 거점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네트워크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엣지 로케이션은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일정 기간 캐싱하여, 이후 다른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05. 글로벌 서비스와 리전 서비스

AWS에서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따라 글로벌 서비스리전 서비스로 분류한다.

  • 글로벌 서비스 : 모든 리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는 의미
    • IAM, Route53, CloudFront, WAF, Global Accelerator
  • 리전 서비스 : 특정 리전에 국한된 서비스
    • EC2, S3, ECS, EKS, Lambda.. 등등

99. 참고 자료

 

[AWS] 리전(Region)과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리전 (Region) AWS에 존재하는 리전들 AWS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따라서 AWS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들은 미국에서만 호스팅 되지 않고, 전세계 각국에서 호스팅된다. 이때 이

hudi.blog

 

[AWS] 📚 아마존 웹 서비스 구조 (Region / AZ / Edge Location / Cache)

AWS 글로벌 인프라 구성 AWS 글로벌 인프라는 리전(Region), 가용영역(AZ, Availability Zones),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리전 엣지 캐시(Regional Edge Cache) 네가지 요소로 구성 되어 있다. AWS를 입문하는데

inp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