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진행중에, 검색엔진 데이터노드의 EBS 용량을 실시간으로 증설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EBS 볼륨 탭에서 EC2의 볼륨 사이즈를 증설만 하면 끝난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EC2가 사용하고 있는 볼륨의 파티션도 변경해줘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여 이번에는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EBS의 용량 증설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01. AWS EBS Console에서 볼륨 수정
- AWS EC2 Console 접근
- 스토리지 선택 후 볼륨 클릭
- 해당 볼륨 선택 후 편집 클릭
- EBS 수정할 용량 지정
02. EC2 서버 접속 후 파티션 크기 조정
위에서 EBS의 볼륨 용량을 증설하였다고 가정하며, 현재 500GB -> 600GB로 증설한 상태이며 이제 파티션 크기 조절이 필요한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해당 EC2에 매핑되어 있는 디스크 블록 장치를 확인한다.
# 아래 부분은 예시일 뿐입니다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nvme0n1 259:0 0 600G 0 disk
└─nvme0n1p1
259:1 0 500G 0 part /
....중략
아직은 파티션을 늘리지 않았기에, 500G인 부분 확인 가능.
이제 다음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늘려야 한다.
sudo growpart /dev/xvda 1
- growpart: 특정 파티션의 크기 증가를 위해 사용
- /dev/xvda: 대상 디스크 의미, EC2 인스턴스의 블록 디바이스 이름 중 하나
- 1: 첫번째 파티션 의미,
/dev/xvda1 파티션의 크기
를 증가 시킨다는 의미
lsblk
- 다시 치면 파티션 크기가 변경 된 것을 확인 가능
03. EC2 인스턴스의 파일 시스템 조정
df -h
- 현재 dir 공간 확인
sudo resize2fs /dev/xvda1
- resize2fs: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 크기 조정 유틸리티
- /dev/xvda1: 조정 대상 파티션
df -h
- 볼륨 사이즈 변경 된 부분 확인 가능
99. 참고 자료
Amazon EBS 볼륨 크기 조정 후 파일 시스템 확장 - Amazon EBS
다음 지침은 Linux용 XFS 및 Ext4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는 프로세스를 안내합니다. 다른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설명서를 참조하세요.
docs.aws.amazon.com
Resize EBS volume without rebooting in AWS
This article guide you to resize the EBS volume without rebooting 1. Modify volume in AWS EC2 UI After login to AWS console, navigate to EC2 -> Elastic Block Store -> Volumes. Click on the volume that you wist to resize, then select Actions -> Modify Volum
www.fizerkhan.com
[AWS] EC2의 스토리지 용량 재부팅 없이 늘리기
[AWS] EC2의 스토리지 용량 재부팅 없이 늘리기 크게 2가지의 일을 해야해요. 웹페이지의 AWS console에서 수정, EC2 인스턴스에서 수정. 명령어를 통해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해요. AWS console에서 수
livenow14.tistory.com
'Public Cloud > AWS - Exper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IAM 그리고 AssumeRole vs PassRole란? (0) | 2025.03.11 |
---|---|
[AWS] ECS 실행중인 Task에 Tag 지정(tag propagation)하기 (0) | 2025.03.10 |
[AWS] ECS Task Role vs Execution Role 차이 (1) | 2025.01.20 |
[AWS] VPC, Subnet, Routing Table, NAT 생성 과정 정리 (0) | 2025.01.20 |
[AWS] AWS Cross Account Role Assume (0) | 2025.01.20 |